본문

특집 프로그램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2015 꿈꾸는 아리랑 특집 공개방송 [다함께 아리랑]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10월 09일 16:00-18:00
방송내용 [제작진]
기획 : 김정학, 연출 : 고효상, 구성 : 김산효, 진행: 함현상, 영상 : 임혁, 기술 : 송창용, 박수철

[기획의도]
민족 제 1의 노래 아리랑!
하지만 우리는 실제 아리랑과 얼마나 가까이 있을까요?
2015년 서울 국악한마당을 맞아 열린 이번 특집 공개방송에서는
공연 형식을 빌어 아리랑의 기원에서부터 아픔을 담은 역사, 그리고 신명까지!!
촘촘하게 엮인 아리랑의 다양한 결을 만나봅니다.

[방송내용]
▶ 아리랑 향연
아리랑 연곡 (노래:경기소리그룹 앵비, 반주:국악방송 예술단)
정선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노래:김순녀, 장구:김뻑국)

▶ 아리랑 이야기
아리랑의 역사와 숨겨진 이야기 (음악학자 이준희)
아리랑 낭낭, 아리랑 그리운 나라 (노래:최은진)

▶ 화합의 아리랑
말레이시아 한국 유학생들이 개사한 아리랑 (노래: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말레이시아 한국 유학생들) 아리당다쿵, 꿈꾸는 아리랑 (노래:두레소리 합창단)

▶ 신명의 아리랑
소리꾼 정상희와 진도 아리랑 함께 부르기 (노래:정상희, 반주:국악방송 예술단)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광복 7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2부작 [해방공간의 국악]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8월 15일 10:00-12:00
방송내용 [제작진]
기획:김정학, 연출:김정은,고효상. 구성:박길숙, 기술: 송창용 취재:곽지현, 내레이션:신범식

[기획의도]
일제로부터의 해방은 역설적으로 혼란의 시작이었다.
일제가 사라진 해방공간 안에서 우리 민족은 광복의 기쁨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좌익과 우익으로 대립하였다. 그 대립은 발전을 위한 경쟁이 아닌 저마다의 생존을 위한 투쟁이었으며
이로 인해 한반도는 해방이전보다 더욱 극심한 혼란의 장이 되었다.
해방공간은 국악계에게도 새로운 시작점이었다.
'국악’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 것도 이때이고, 정악, 민속악으로 대표되는 지금의 구분도 이때 만들어졌다. 조선 아악의 정통성을 주장하는 이왕직 아악부와 새로운 민족음악을 꿈꾸던 함화진의 국악원, 그리고 그 사이에 있던 많은 음악인들은 저마다의 이상을 좇아 각자의 음악세상을 꿈꾸었다. 어떤 예술가들은 북으로 건너갈 수밖에 없었으며, 남은 자들에게 그들의 예술은 더 이상 예술이 될 수 없었다. 이렇게 해방 시기는 국악에서도 기회이자 혼란의 장이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우리의 현대사가 시작되는 1945년 해방 공간의 국악사를 되돌아보고, 지난 국악사를 복원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그 과거를 되새겨봄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통합, 통일의 시대에 필요한 열쇠를 함께 찾아보려 한다.

[프로그램 내용]
1부 - 경계에서 길을 묻다
해방 전 국제 정세와 더욱 가혹해진 일제의 민족문화말살 만행을 살펴본다. 일본어로 우리 전통노래를 불러야 했던 시절,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국악인 함화진, 김기수는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만나보며, 해방 이후 이들의 행적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조명해본다.

2부 - 소리에서 답을 찾다
치열한 이념대립 속에서 국악인들은 어떠한 길을 걸었는가?일부 국악인들이 월북하게 된 이유와 그로 인해 스승을 숨겨야만했던 그들의 제자들을 조명한다. 또 한국전쟁 당시 개원한 국립국악원의 역사적 의미와 미래 통합을 위한 국악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제41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본선 및 시상 생중계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6월 01일 12:00-16:30
방송내용 진행:손혜원 / 해설:심인택 교수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부처님 오신 날 특집 국악방송 음향다큐멘터리 ‘인연사, 모두가 음악이라네’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5월 25일 08:00-09:00
방송내용 [방송일시]
2015. 05. 25.(월) 08:00~09:00(창호에 드린 햇살 2부 결방)

[제작진]
기획: 김정학, 연출: 전성희, 기술: 김재준,송창용,김동혁, 구성: 윤금선, 내레이션: 정목스님

[기획의도]
산사에서 살아가는 스님들의 이야기, 새벽을 깨우는 도량석으로 시작하여 새벽사물, 새벽예불, 상강례, 사시불공, 영산재, 저녁사물, 저녁예불, 선방에서의 정진 등 소박하고 검소하며, 보이지 않는 엄격한 질서 속에서 서원을 지켜 나가는 수행자들의 생활을 정목스님의 내레이션과 함께 서정적이면서도 밀도 있게 소리로 담아내고자 한다. 더불어 산사의 소리로 우리를 치유하는 힐링의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2015년 장애인의 날 특집 방송 “보이지 않는 소리꾼, 조동문이 사는 세상...”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4월 20일 09:00-10:00
방송내용 【방송일시】
2015.4.20.(월) 09:00~10:00(60분)

【제작진】
기획:김정학, 연출:김은하. 구성:윤석미, 내레이션:이금희

【기획의도】
“불편하다고 해서 불행하게 살아갈 이유는 없는 것 아닐까요?” 출연자 조동문 소리꾼의 말이다. 과거 정애인은 사람들의 놀림거리가 되었고 가족들까지도 쉬쉬하며 겉으로 내놓지 못하고 숨겨온 마음자리 깊게 남는 상처였다. 그러나 이제는 다른 세상을 펼쳐야 한다. 저마다 가지고 있는 자질을 세상과 공유하고 세상 속에서 빛을 내야 할 때이다. 우리가 만난 장애인 조동문... 그러나 그에게는 장애인보다 앞서 이제는 소리꾼이라는 타이틀이 붙는다. 누구나 상상할 수 있는 어려움과 그 이상의 고통이 있었지만 소리꾼으로서 비장애인과 경연대회를 통해서도 당당하게 입상을 하고 있다. 과연 그를 그렇게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은 무엇인가? 제35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당당하게 국악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있는 장애인의 모습을 통해 세상 속에서 함께 더불어 가며 건강한 삶의 숲을 이루는 사람의 모습을 그려내고자 한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설특집 풍류정담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2월 19일 09:00-10:00
방송내용 사랑방에서 만나는 정다운 토크 콘서트. 설을 맞아 국립국악원의 생생한 연주화 함께 명절 풍속과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 출연 : 주강현(제주대학교 교수), 김유진(맛칼럼니스트) *공연사회 : 유은선(국악방송 본부장, 작곡가) *공연일시 : 2015년 2월 14일 (토) 11시 *공연장소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2014 송년 및 2015 신년 특별 생방송 2부 다시듣기
방송일 2015년 01월 01일 00:00-01:00
방송내용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2014 송년 및 2015 신년 특별 생방송 1부 다시듣기
방송일 2014년 12월 31일 23:00-24:00
방송내용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제18회 송만갑 판소리 고수대회 다시듣기
방송일 2014년 10월 12일 14:00-16:00
방송내용 동편제의 본고장이자 지리산 소리, 섬진강 소리가 어우러져 구례군 실내체육관 특설무대에서 펼쳐지는 '제 18회 송만갑, 판소리 고수대회' 일반부,명창부 본선대회 생중계
* 진행: 전지영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국립무형유산원 개원 열림한마당 축하 음악회 다시듣기
방송일 2014년 10월 01일 19:30-22:00
방송내용
지역별 FM 주파수 안내 테이블이미지
지역별 FM 주파수 안내
서울/경기 FM 99.1 강릉 FM 103.3
부산 FM 98.5 진도/목포 FM 94.7
대구 FM 107.5 남원 FM 95.9
전주 FM 95.3 광주 FM 99.3
경주/포항 FM 107.9 제주 FM 91.3
서귀포 FM 106.9 대전 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