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특집 프로그램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2025 제19회 21세기 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경연대회 생중계
방송일 2025년 05월 15일 18:55-22:00
방송내용 공연제목: 2025 국악창작곡개발 제19회 21세기 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경연대회
공연일시: 2025년 5월 15일(목) 18:57~
공연장소: 국립국악원 예악당
진행: 박은영, 김선근 아나운서(현장)/ 송현민(라디오)


* 생중계 편성으로 <맛있는 라디오> 가 30분 단축방송 됩니다.
<양준모의 당신을 위한 노래>, , <황인찬의 글과 음악의 온도> 는 하루 쉬어갑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양해와 많은 청취 부탁드립니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故 최승희 명창 추모 특집 방송
방송일 2025년 05월 12일 13:00-14:00
방송내용 [특별편성] 故 최승희 명창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방송일시 : 2025년 5월 12일(월) 13:00~13:55
방송내용 : 2014년 3월 16일(일) 방송 <남기고 싶은 이야기-최승희 편>


* <음악이 흐르는 마루 2부>는 결방입니다. 청취자여러분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대전 <송진주의 음악정원>은 편성 변경 없이 방송됩니다.


故 최승희 명창

1937년 전라북도 익산 출생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
전북대학교 한국음악과 초빙교수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구술프로젝트, 남기고 싶은 이야기 - 천왕메기 상쇠, 김수기 명인 다시듣기
방송일 2025년 05월 05일 21:00-22:00
방송내용 한 평생, 우리음악과 함께 해온 명인, 명창들의 삶과 음악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내어 청취자에게 전하고자 한다.

<출생>
1941년, 경남 밀양

김수기는 대구광역시 무형유산 제4회 천왕메기의 예능보유자로,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서 400년간 전해지고 있는 천왕메기굿과
이를 바탕으로 1953년에 결성된 비산농악의 3대 상쇠로 활동하면서
날뫼북춤과 천왕메기가 대구광역시 무형유산에 지정되는데 앞장서 왔으며,
1987년 대구 최초의 사물놀이패인 달구벌사물놀이패를 창단하는 등
농악의 보존과 창조적 계승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선곡>
1. 밀양농악_지신밟기 (손득현 외)
2. 날뫼북춤 (국립국악원 사물놀이)
3. 천왕메기 비산농악 (김수기 외)
4. 천왕메기 비산농악 (천왕메기보존회 Live)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대전국악방송 2025 어린이날 특집 [우리는 꽃이야]
방송일 2025년 05월 05일 13:00-13:55
방송내용 대전국악방송 2025 어린이날 특집 "우리는 꽃이야"

- 내레이션: 안정아(가객)
* 어린이날 특집 방송은 대전/충청 일원에만 송출됩니다.
(송진주의 음악정원은 12:00~13:00까지 단축방송합니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동요의 가치를 송중하게 여기는 대전국악방송에서는
제 103회 어린이날을 맞아 특집방송 [우리는 꽃이야를] 마련했습니다.
"빗자루별", "햇솜 같은 선화공주", "모두 다 꽃이야"를 비롯해
"내 똥꼬", "뚤레뚤레" 등 국악방송을 통해 탄생한
귀엽고 깜찍한 국악창작동요를 만날 수 있어요.

<선곡>

1. 빗자루별(노래: 노래패 예쁜 아이들)*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7집 [향가에 그린 노래]

2. 햇솜 같은 선화공주(노래: 정혜원 어린이와 노래패 예쁜 아이들) *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7집 [향가에 그린 노래]

* 인서트1: 김은하 본부장님

3. 이 내 마음 변하리오(노래: 박소현 어린이와 한음어린이합창단)*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8집 [고려가요에 그린 노래]

4. 절굿공이 장단(노래: 김준형 어린이와 한음어린이합창단)*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8집 [고려가요에 그린 노래]

5. 두꺼비 집짓기(* 전래놀이노래)(노래: 안정아, 유사랑 어린이)*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9집 [내똥꼬]

6. 응가송 "내똥꼬"(노래: 류준하 어린이)*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9집 [내똥꼬]

* 인서트2: 류형선 선생님

7. 모두 다 꽃이야(노래: 성다경 어린이 외) *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10집 [모두 다 꽃이야]

8. "꼬리에 꼬리를 무는 만냥짜리 이야기" 중 "이야기꾼의 쥐꼬리 이야기 대목"(작창.소리:김봉영)*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11집 [꼬.꼬.만.냥]

* 인서트3: 신창렬 선생님

9. 뚤레뚤레(노래: 대교어린이TV합창단)*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12집 [뚤레뚤레 유치원 가는 길]

10. 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노래: 안정아와 여러어린이 친구들)* 국악방송 추천 아이들 노래 10집 [모두 다 꽃이야]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FM국악당 생중계
방송일 2025년 04월 10일 19:30-21:00
방송내용 공연제목: 2025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공연일시: 2025년 4월 10일(목) 19:27~
공연장소: 국립국악원 예악당
진행: 서인화 서울시 무형유산위원, 전 국립부산국악원장

* 생중계 편성으로 <양준모의 당신을 위한 노래> 는 하루 쉬어갑니다.
<황인찬의 글과 음악의 온도>는 공연을 마친 후 보내드리게 됩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양해와 많은 청취 부탁드립니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구술프로젝트, 남기고 싶은 이야기 - 농요 연구가 이소라 박사 다시듣기
방송일 2025년 04월 07일 21:00-22:00
방송내용 한 평생, 우리음악과 함께 해온 명인, 명창들의 삶과 음악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내어 청취자에게 전하고자 한다.

<출생>
1944년 경남 창원

<학력>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작곡과 학사 (작곡 전공)
서울대학교 음악과 석사 (국악이론 전공)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 (예술철학 전공)

<경력>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 상근 전문위원
농요소리보존회 (현 두레소리보존회) 설립
공주대 지역개발연구소 연구교수
민족음악연구소 대표
(재)나요당농요상기념사업회 이사장

<선곡>
1. 시나위 (이동안 외)
2. 경북 예천 통명 모심기 소리_아부레이수나 (이상휴 외)
3. 경북 예천 풍양 논매는 소리 (황기석 외)
4. 경북 경산 논매는 소리_절래소리 (김장석, 천태함)
5. 경북 경주 모심기 소리 (최이범 외)
6. 경북 의령 논매는 소리 (최준조 외)
7. 서울 마들농요_애벌매는 소리 (노원문화원)
8. 전남 광양_산아지곡 (방양주 외)
9. 전북 익산 논매는 소리_만드레사나 (박갑근 외)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FM국악당 생중계
방송일 2025년 03월 27일 19:30-21:00
방송내용 공연제목: 2025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작곡가 시리즈 IV - 이상규
공연일시: 2025년 3월 27일(목) 19:27~
공연장소: 국립국악원 예악당

* 생중계 편성으로 <양준모의 당신을 위한 노래> 는 하루 쉬어갑니다.
<황인찬의 글과 음악의 온도>는 공연을 마친 후 보내드리게 됩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양해와 많은 청취 부탁드립니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FM국악당 생중계
방송일 2025년 03월 13일 19:30-21:00
방송내용 공연제목: 2025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행악과 보허자-하늘과 땅의 걸음>
공연일시: 2025년 3월 13일(목) 19:27~
공연장소: 국립국악원 예악당

* 생중계 편성으로 <양준모의 당신을 위한 노래> 는 하루 쉬어갑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양해와 많은 청취 부탁드립니다.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국악의 날 제정기념 특별기획 <이 달의 국악인 : 별, 기록으로 만나다>
방송일 2025년 03월 10일 08:45-08:55
방송내용 2025년 6월 5일, "국악의 날" 제정을 기념해
매 달 한 분의 명인을 선정하고,
제자들의 육성을 통해 명인의 음악이 오늘날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음악적 가치를 기록하는 특별 기획
<이 달의 국악인 : 별, 기록으로 만나다>
2025년 3월 10일부터 12월 31일 까지
하루에 두 차례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제작진

김은하(기획), 이주연(연출), 남화정(작가), 신범식(성우)

■ 2025년 3월의 국악인

만정(晩汀) 김소희 명창(1917~1995)
본명 김순옥, 1930년에 명창 송만갑을 찾아가 판소리에 입문한 이후 정정렬 등에게 판소리 사사
국악 및 문화 예술 부문에서 활동으로 금관문화훈장 추서
해방 이후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판소리의 전승자로 지정
3월의 국악인 김소희 명창에 대한 기록을
그의 제자 신영희, 안숙선 명창의 목소리로 만나봅니다.

2025.03.10(월)~03.16.(일) 이달의 국악인 김소희 - 신영희 명창편 1부
2025.03.17(월)~03.23.(일) 이달의 국악인 김소희 - 신영희 명창편 2부
2025.03.24(월)~03.30.(일) 이달의 국악인 김소희 - 안숙선 명창편
특집프로그램
프로그램명 구술프로젝트, 남기고 싶은 이야기 - 가야금 성심온 명인 다시듣기
방송일 2025년 03월 03일 21:00-22:00
방송내용 한 평생, 우리음악과 함께 해온 명인, 명창들의 삶과 음악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내어 청취자에게 전하고자 한다.

<출생>
1949년 서울 출생

<경력>
전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국가무형유산 가야금병창 및 산조 이수자
광주문화재단 이사
광주시 문화재 위원
아시아 琴 교류회 이사
빛고을 무등가야금 연주단 예술감독
전라남도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정책자문위원
사)한국전통문화연구회 이사

<선곡>
1. 도드리 (거문고:장사훈)
2. 가야금독주곡 33번 바다 중 2악장 (작곡:이성천 가야금:이재숙)
3.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중 세산조시 (가야금:김죽파 장구:김동준)
4. 천년만세 중 계면가락도드리 (가야금:성심온)Live
5. 평조회상 중 상령산 (가야금:성심온 생황:허지영)
6. 광주향제줄풍류 중 세령산 (연주:풍류회 죽선방)
7.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중 중모리(가야금:성심온 장구:윤호세)
지역별 FM 주파수 안내 테이블이미지
지역별 FM 주파수 안내
서울/경기 FM 99.1 강릉 FM 103.3
부산 FM 98.5 진도/목포 FM 94.7
대구 FM 107.5 남원 FM 95.9
전주 FM 95.3 광주 FM 99.3
경주/포항 FM 107.9 제주 FM 91.3
서귀포 FM 106.9 대전 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