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화소식모음

진행 : 조경아 / 연출 : 이성아 / 작가 : 심경아
월~금 | 08:55, 13:55, 15:55, 17:55, 19:55

2021년 1월 14일 목요일
  • 작성자문화소식
  • 조회수461
  • 작성일2021.01.13

첫 번째 방송

1.20-24    국립극장, '명색이 아프레걸' 20일 개막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조명

(기간없음)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 방문코스' 여행 영상 동영상 콘텐츠 채널(유튜브) 공개

-2.17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립예술단 찾아가는 공연에 함께할 기관·단체 모집

12.28-      국립고궁박물관, () 한석홍 사진작가가 찍은 40년 전 왕실 문화재 사진 공개

(기간없음) 경기도, 구리양평 경기옛길 '평해길' 개통

 

두 번째 방송

1.11-20       광주문화예술회관, 2021광주국악상설공연공모작 접수

-2.28          예술의전당, '스웨그에이지:외쳐, 조선!' 토월극장에서 선보여

(기간없음)    국립고궁박물관, 소의 중요성 상징하는 조선왕실 제기 온라인 공개

-2021.1.24    수림문화재단, '수림아트랩 2021' 공모예술작품 창작지원금 2천만원

2021.1.11.-31 부산 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자연 속의 우리' 주제 포스터 공모전

 

세 번째 방송

-12.11    국립부산국악원, 토요상설무대 대장정 시작34회 공연

1.12-2.4  국립민속국악원, 국악뮤직비디오 랜선 국악나들이 - 지금, 여기공개

-2.18      경기 의정부문화재단, 올해 20주년 의정부음악극축제 "창작극 신청하세요"

-1.20      충청북도교육문화원, 국악관현악단 신입 단원 비대면 모집

-2021.3.1 국립민속박물관, 신축년 맞아 '우리 곁에 있소' 특별전 온라인 공개

 

네 번째 방송

1.6-         대전시,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 온라인서 '대전시 브런치 콘서트'

-1.21        부산 영화의전당, 기획전 '오래된 극장'고전 명작 20편 엄선

(기간없음)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지원사업 안내하고 개인별 추천도 제공 아트누리개설

12.31-      한국문화재디지털보존협회, 안견·정선·김홍도의 그림과 춤 협업 공연 온라인 공개

2021.1       한국관광공사, 한식 번역표기 기준으로 K푸드 열풍 잇는다

 

 

 

 

첫 번째 방송

 


1.20-24 국립극장, '명색이 아프레걸' 20일 개막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조명

 

국립극장은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합니다.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1923~2017)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

작가 고연옥, 연출가 김광보, 작곡가 나실인이 참여했습니다.

 

당초 지난해 12월 개막하려 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개막을 연기했는데요.

 

아프레걸(apres-girl)’

6.25전쟁 이후 새롭게 등장한 여성상을 일컫는 당대 신조어로,

봉건적 사회 구조와 관습에 얽매이기를 거부하며

사회 안에서 자신의 주체적 역할을 찾은 여성들을 지칭합니다.

 

1923년 경북 하양 출생인 박남옥은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까지 격동의 시절을 살아오며

전통적 여성상에 도전한 대표적인 인물로,

그가 남긴 영화 미망인속 시공간을 넘나들며

새로운 여성상이 나타나던 전후 상황을 입체적으로 무대에 담아낼 예정입니다.

 

이번 공연에는

국립극장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국립무용단·국립국악관현악단이 모두 참여하는데요.

 

3개 전속단체가 한 무대에 오르는 것은

2011년 국가브랜드 공연 화선 김홍도이후 10년 만입니다.

 

 

(기간없음)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 방문코스' 여행 영상 동영상 콘텐츠 채널(유튜브) 공개

 

한국문화재재단은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 방문코스 여행 영상 7편을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공식 동영상 콘텐츠 채널(www.youtube.com/문화유산방문캠페인)에 공개합니다.

 

제작에는 국악인, 아나운서 등이 참여했는데요.

 

영상은 문화유산 방문 코스의 여행 주제를 부각하고,

360도 가상현실(VR)·항공촬영 등

다양한 촬영기법을 활용했습니다.

 

영상에 담긴 여행 코스는

경주·안동 등 유구한 역사의 '천년정신의 길',

백제 숨결이 담긴 '백제 고도의 길',

남도 선율이 흐르는 '소릿길',

제주도의 자연과 문화가 깃든 '설화와 자연의 길',

고인돌부터 궁궐까지 역사적 자취를 만나는 '왕가의 길',

한국 성리학의 산실 '서원의 길', 전통과 불교문화가 어우러진 '수행의 길' 등입니다.

 

한편, 재단은

지난해 6월 공모를 통해 선정한 5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2.17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립예술단 찾아가는 공연에 함께할 기관·단체 모집

 

부산시와 부산문화회관은

쉽게 공연장을 찾을 수 없는 시민을 위한

부산시립예술단의 찾아가는 예술단 공연에 함께할 기관과 단체를 모집합니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을 비롯해

합창단, 국악관현악단, 무용단, 극단 등

7개 예술단이 매년 부산 전역에서 연간 200차례 공연을 펼쳐왔습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

희망 기관과 합동 공연을 펼치기로 했습니다.

 

부산을 알리는 지역 행사 공연을 중심으로 하는 '내사랑 부산' 공연,

소외계층을 찾아가는 '문화나눔' 공연,

학교·기업 등을 위한 '행복나눔' 공연 등 3개 부분으로 꾸려집니다.

 

공연 접수는

다가오는 17일까지며, 전자우편(bko2934@bscc.or.kr)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모집 단체는 분야마다 각 30개 기관으로 총 90개 기관으로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12.28- 국립고궁박물관, () 한석홍 사진작가가 찍은 40년 전 왕실 문화재 사진 공개

 

국내 문화재 사진을 개척한 고() 한석홍(1940~2015) 사진작가가

1980~90년경 촬영한 왕실 문화재 사진들이 온라인에 공개됐습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한석홍 작가가 찍은 궁궐 유물과 전각 사진 310여 점을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공개합니다.

 

박물관은

2019년부터 올해까지 한 작가의 유족으로부터 사진필름 492점을 기증받아

이중 310여 점을 디지털화했는데요.

 

1980~1990년대 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신인 궁중유물전시관이나

그 이전 문화재관리국에서 촬영한 것으로

왕실문화, 공예, 천문, 과학 관련 왕실문화재, 궁궐 전각 사진필름 등이 포함됐습니다.

 

순종 황제의 어차, 창덕궁 대조전 내부, 칠보 공예품 등

30~40년 전 왕실 유물 모습이 생생히 담겼습니다.

 

이번 왕실 유물 사진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www.gogung.go.kr, 소장품-왕실문화 아카이브-한석홍 기증사진)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없음) 경기도, 구리양평 경기옛길 '평해길' 개통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4번째 경기옛길인 평해길을 개통했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와 양평을 잇는 125에 이르는 평해길은

10개 구간(구리 1, 남양주 2, 양평 7)의 탐방로로

망우묘역, 조말생묘, 정약용 유적지, 지평향교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어우릅니다.

 

평해길에는

종합안내판과 구간안내 표지판,

평해길에 있는 문화재에 대한 설명이 있는 스토리보드 등이 설치됐습니다.

 

현재 경기도는

경기문화재단과 함께

조선 시대 실학자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17121781)1770년 집필한 역사 지리서 '도로고'(道路考)를 기반으로 옛길을 복원해 탐방길을 운영 중인데요.

 

이번 평해길에 앞서 개통된 3개 옛길은

삼남길(과천평택) 100, 의주길(고양파주) 56.5, 영남길(성남이천) 116입니다.

 

올해는 경흥길(의정부포천), 강화길(김포)이 개통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갑작스레 공연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니

예매 및 방문 전 관련 기관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방송

 


1.11-20 광주문화예술회관, 2021광주국악상설공연공모작 접수

 

광주문화예술회관은

2021광주국악상설공연에 참여할 창작공연 작품을 공개모집합니다.

 

국악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광주 지역의 특성을 담은 창작 작품을 찾는데요.

 

또 가무악희, 퓨전 등을 활용하면서도

관객과 즐겁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프로그램은 1시간 이내 단일 혹은 복합 분야로 구성되면 되고,

참여 대상은 광주지역 민간예술단체 또는

광주지역 내 공연활동이 있는 단체 및 사회적 기업입니다.

 

접수기간은

다가오는 20일까지(공휴일 제외)이며,

관련 서류는 광주문화예술회관 공연지원과로 직접 방문해 제출하시면 됩니다.

 

제출서류 양식 및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 문화예술회관 누리집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28 예술의전당, '스웨그에이지:외쳐, 조선!' 토월극장에서 선보여

 

독특하고 유쾌한 창작 뮤지컬이 새해 관객을 만납니다.

 

2019년 초연 이후 200회 공연을 맞은 '스웨그에이지:외쳐, 조선!'

코로나 19로 지친 관객에게 희망을 전한다는 메시지를 담아

'새로운 세상을 향해'라는 문구를 내세우고 다시 시작했습니다.

 

시조(時調)가 국가 이념인 가상의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거대한 세력에 저항하는 민초들의 통쾌한 외침을 담은 이 작품은

2019년 예그린뮤지컬어워드에서 앙상블상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앙코르 공연 당시 2주 동안 공연을 중단했던 '스웨그에이지'2020년 한국에서 공연된 모든 뮤지컬 관객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지난해 뮤지컬 티켓 소지자는

이달 말까지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고 학생, 55세 이상 관객은 동반과 함께 40%,

수능을 치른 수험생은 5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새로운 세상을 향한 염원을 담은 부채를

모든 관객에게 증정합니다.

 

지난 5일 막을 올린 공연은

228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이어집니다.

 

 

(기간없음) 국립고궁박물관, 소의 중요성 상징하는 조선왕실 제기 온라인 공개

 

국립고궁박물관은

신축년(辛丑年) 소의 해를 맞아

조선시대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노동력이자 재산이었던 소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우정'(牛鼎)을 이달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유물로 선정했습니다.

 

우정은 소의 머리에 발굽 모양을 한 세 개의 발과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제기용 솥으로, 뚜껑에는 소를 뜻하는 한자인 '' 자가 새겨있습니다.

 

우정은 제례 때 신에게 고기를 올려 대접하고,

신에게 바친 고기를 다시 국왕이 받는 절차에 사용됐는데요.

 

우정에 담긴 고기는

제례가 끝난 후 연회에서 왕과 신하들이 함께 먹거나

종친들과 신하들에게 배분됐습니다.

 

제기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우정(양정(시정(돼지)으로 구분했는데요.

 

소는 특히 귀한 제물로 여겨

종묘제, 사직제 등 중요한 국가 제례에만 사용했다고 국립고궁박물관은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번 우정은

문화재청 공식 동영상콘텐츠 채널(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국립고궁박물관 공식 동영상콘텐츠 채널(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21.1.24 수림문화재단, '수림아트랩 2021' 공모예술작품 창작지원금 2천만원

 

수림문화재단은

예술작품 창작지원사업 '수림아트랩 2021'에 참여할 예술가를 공개 모집합니다.

 

'수림아트랩'

성장단계의 예술 인재들을 발굴해 창의적인 작품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지난 2019'수림뉴웨이브 아트랩'으로 출발했으며,

2021년도부터 '수림아트랩'이라는 새 명칭으로 운영됩니다.

 

지원 분야는 전통음악 기반 창작예술과 시각예술입니다.

 

공모 대상은

다양한 형식으로 실험정신을 시도하는 문화예술 관련 단체

또는 40세 이하 예술가로,

단체의 경우 대표자의 나이가 40세 이하여야 합니다.

 

발표되지 않은 신규창작 작품으로 지원대상을 제한하며,

예술가와 기획자가 함께 팀을 구성해야 합니다.

 

선정된 팀에는 창작지원금 2천만원이 지급되는데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계에

조금이나마 활력을 더하고자 지원 규모를 대폭 증액했다고 재단은 설명했습니다.

 

접수기간은 다가오는 124일까지며,

더욱 자세한 내용은

수림문화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1.1.11.-31 부산 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자연 속의 우리' 주제 포스터 공모전

 

부산 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BIKY)

2021년도 제16회 영화제 포스터 그림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공모전은

'자연 속의 우리'를 주제로 열리는데요.

자유 형식으로 8절 스케치북 크기에 작품을 담아 제출하면 됩니다.

 

참가대상은

5세부터 12세까지의 어린이로,

접수기간은 다가오는 31일까지입니다.

 

20개 작품을 선정해

226일 누리집을 통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선정 작품은

영화제 메인 포스터 제작에 활용됩니다.

 

한편

2021년도 제16회 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는

75일부터 12일까지

해운대 영화의전당 등 부산 일원에서 열릴 계획입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갑작스레 공연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니

예매 및 방문 전 관련 기관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 방송

 


-12.11 국립부산국악원, 토요상설무대 대장정 시작34회 공연

 

국립부산국악원 토요일 상설공연 '토요신명'

대장정의 막을 올렸습니다.

 

올해 토요신명은

지난 9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1211일 마지막 공연까지 총 34번 펼쳐집니다.

 

20095월부터 시작한 토요신명은

국악연주단의 대표 상설공연인데요.

 

국악을 처음 접하는 관객은 물론

외국인과 국악 애호가들까지

폭넓은 관객층의 눈높이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단원 해설과 모니터를 통한 친근한 설명으로

관람객의 이해를 높일 계획입니다.

 

토요일 당일 공연을 놓쳤다면

수요일 오후 3시 공식 동영상 콘텐츠 채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부산국악원 누리집(http://busan.gugak.go.kr)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2-2.4 국립민속국악원, 국악뮤직비디오 랜선 국악나들이 - 지금, 여기공개

 

국립민속국악원은

지난 12일부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 1시에

국악 뮤직비디오를 공식 동영상 콘텐츠 채널에 한 편씩 공개하고 있습니다.

 

랜선 국악나들이- 지금, 여기

남원의 주요 관광 명소인 광한루원, 혼불문학관,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등에서

판소리, 무용, 해금산조 등 국악 공연을 선보여

지역의 문화와 관광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제작됐습니다.

 

12일 이지숙 창극단 단원이 만인의 총에서 열창한

판소리 흥보가 중 가난 탄식 대목공개를 시작으로,

송윤정 무용단 단원의 진도북춤’,

박선호 기악단 단원이 연주하는 지영희류 해금산조’,

양근영 무용단 단원의 춘앵전’,

김송 창극단 단원이 부르는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

김세희 무용단 단원의 정재만류 살풀이춤’,

임재현 창극단 단원이 선보이는 가야금병창 임방울의 추억’,

장지연 기악단 단원의 서용석류 해금산조를 위한 달빛조차 몸을 사리는데등이

차례로 공개됩니다.

 

영상 시청 후

SNS 인증사진을 댓글에 게시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소정의 상품권도 증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민속국악원 누리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8 경기 의정부문화재단, 올해 20주년 의정부음악극축제 "창작극 신청하세요"

 

경기 의정부문화재단은

올해 의정부음악극축제 20주년을 맞아

창작 음악극을 공모합니다.

 

공모 대상은

전막 쇼케이스 공연이 가능한 작품으로

장르 구분은 없으며 개인 또는 단체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서류와 인터뷰 심사를 거쳐 3편을 선정할 예정이며

전통예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도와 실험이 가미된 작품을 우대합니다.

 

선정되면 쇼케이스 지원금으로 작품당 800만원을 지원받고,

또 축제 기간 전문가·관객 심사에서 선정된 최우수 작품 1편에

제작지원금 500만원을 추가로 지급받습니다.

 

공모 기간은

다음 달 18일까지이며 선정된 작품은 올해 축제 때 무대에 오르는데요.

올해 의정부음악극축제는 5717일 열릴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문화재단(www.uac.or.kr) 누리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20 충청북도교육문화원, 국악관현악단 신입 단원 비대면 모집

 

충청북도교육문화원은

2021년도 청소년국악관현악단의 신입 단원을

비대면으로 모집합니다.

 

청소년국악관현악단 신입 단원은

가야금 4, 아쟁 2, 대금 3, 피리 1, 타악 2, 신디 1명 등

13명을 모집하고,

 

접수 기간은 오는 20일까지입니다.

 

촬영한 영상 파일과 함께

원서를 이메일과 우편으로 접수하면

22일 심사를 거쳐 선발합니다.

 

오디션 영상에는

3분 이내 자유곡, 2분 이내 면접 질문(지원동기, 나의 장단점, 다짐)

포함해야 하는데요.

 

국악관현악단의 신디사이저 부문은

자유곡 1, 지정곡 코드 반주 1곡 포함 총 5분 내외 연주하며,

지정곡 악보는 오는 19일 오후 1시 교육문화원 누리집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충청북도교육문화원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편

충청북도교육청 청소년국악관현악단은

다가오는 3월부터 매주 토요일 정기연습을 진행할 예정이며,

활동은 전액 무료로 이뤄집니다.

 

 

-2021.3.1. 국립민속박물관, 신축년 맞아 '우리 곁에 있소' 특별전 온라인 공개

 

국립민속박물관은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해를 맞아

다가오는 31일까지 '우리 곁에 있소'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우리의 관념 속 소의 모습과

일상에서 소의 쓰임을 소개하는 자리입니다.

 

전시는 지난달부터 시작했지만,

방역 정책에 따라 박물관은 임시휴관 중인데요.

 

이에 따라 당분간 박물관 누리집에서만 온라인으로 전시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전시에서는

십이지 가운데 소를 형상화한 불화(佛畵)인 십이지번(十二支幡) 축신(丑神),

소를 부리는 목동을 포착해 그린 풍속화인 목우도(牧牛圖),

농기구인 멍에와 길마,

소의 뿔로 만든 공예품인 화각함과 화각실패 등 80여 점의 자료와 영상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소띠해에 일어난 일, 소와 관련된 속담과 속신(俗信),

백정 설화 애니메이션 등

우리 생활 속 소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갑작스레 공연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니

예매 및 방문 전 관련 기관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네 번째 방송

 


1.6- 대전시,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 온라인서 '대전시 브런치 콘서트'

 

대전시가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예술공연을 선보입니다.

 

대전시는 연말까지 매주

'수요브런치 콘서트 공연'을 진행합니다.

 

오전 11시부터 1시간 동안

시청 20층 하늘마당에서 국악, 클래식, 퓨전음악 등

47가지 공연이 온라인으로 중계됩니다.

 

5개 시립예술단을 비롯한 지역 예술인들이 중심이 돼

계절별 주제에 맞춰 시민 품격을 높일 수 있는 공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는 현장 소통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중계되고,

공식 동영상 콘텐츠 채널에서 장르별 다시보기 등도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 문화예술정책과(042-270-443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21 부산 영화의전당, 기획전 '오래된 극장'고전 명작 20편 엄선

 

부산 영화의전당은

고전 명작 영화를 다시 보는 '오래된 극장'을 선보입니다.

 

기획전 '오래된 극장'

할리우드의 거장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초기 명작을 소개하는 '젊은 윌리엄 와일러'(6)를 비롯해

'갇힌 여인'(6), '영화가 사랑한 시인들'(8) 3개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젊은 윌리엄 와일러 편에서는

전쟁에서 돌아온 세 참전용사가 맞닥뜨리게 되는 삶에 대한 고뇌를 통찰력 있게 그린

'우리 생애 최고의 해'(1946) 6편을 상영합니다.

 

'갇힌 여인' 부문에서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레베카'(1940)를 비롯해 '가스등'(1944, 조지 큐커) 등을 선보입니다.

 

'영화가 사랑한 시인들'에선

그린 장 콕토의 '오르페'(1950), 오펜바흐의 오페라를 각색한 '호프만의 이야기'(1951)

등이 관객을 기다립니다.

 

영화는 다가오는 21일까지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34편씩 상영합니다.

 

자세한 상영 일정과 작품 내용은

부산 영화의전당 누리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간없음)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지원사업 안내하고 개인별 추천도 제공 아트누리개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지원사업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누리집

'아트누리'(artnuri.or.kr, 아트누리.kr)를 개설했습니다.

 

이 누리집에서는

예술인과 예술단체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예술 공공기관과 지역문화재단의 예술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모아 안내합니다.

 

지금까지 예술지원사업 정보는

사업을 운영하는 기관별로 제공함에 따라

예술인과 예술단체가 신속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앞으로 예술인들은 '아트누리'에서 제공하는 예술지원사업 정보 검색,

지역·분야별 맞춤형 지원사업 추천,

카카오톡이나 전자우편을 통한 지원사업 신청 마감일 알림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활동 지역과 관심 예술 분야 등의 개인정보를 '아트누리'에 미리 입력하면

이에 맞는 지원사업 공고가 게시됐을 때

카카오톡이나 전자우편으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예술 코로나19 지원 누리집 '아트누리'(artnuri.or.kr, 아트누리.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2.31- 한국문화재디지털보존협회, 안견·정선·김홍도의 그림과 춤 협업 공연 온라인 공개

 

첨단 디지털 기술로 복원된 조선 시대 유명 화가의 그림과 춤이 어우러진

협업 공연이 온라인으로 공개됩니다.

 

한국문화재디지털보존협회는

안견·정선·김홍도의 작품을 복원한 디지털 아트와 춤의 협업 공연

'화첩기행(畵帖紀行), 춘천이 담다'

협회 누리집(https://hedico.kr)에서 공개합니다.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안견의 산수화 '몽유도원도'

정선의 '사직노송도', 김홍도의 '소림모정도'

디지털로 재탄생합니다.

 

명화가 상영되는 대형 LED 앞 무대에서는

작품의 콘셉트에 따라

현대무용, 팝핀, 고전무용이 펼쳐지는데,

 

몽유도원도는 전통무용, 사직노송도는 팝핀,

소림모정도는 현대무용과 협업 무대를 선보입니다.

 

이번 공연에 등장하는 몽유도원도는 일본 덴리대학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소림모정도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미술관(LACMA)에서 소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문화재디지털보존협회는 2015년부터

해외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디지털로 복원하는 '디지털 귀향'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1 한국관광공사, 한식 번역표기 기준으로 K푸드 열풍 잇는다

 

한국관광공사는

한식의 외국어 표기 기준을 통일하는 한편

한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음식명 외국어 번역표기 기준'을 발간합니다.

 

번역 외국어는 영어, 중국어(·번체), 일본어 4가지입니다.

 

공사는

지금까지 외국어 음식명 번역의 통일된 기준이 없어 외국인들이 혼란을 빚었다며

기존 외국어표기 용례사전과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기준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준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음식명에 학명이 그대로 번역돼도 이해하기에 무리가 없을지,

'잡채''순대'를 의미하는 한자어는 적절한지 등과 같은 문제들에

매우 깊은 논의 과정을 거쳤습니다.

 

단순히 음식명을 기계적으로 번역하기보다는

가급적 식재료, 조리법, , 용기 등의 특성을 살렸고,

문화 차이로 인한 오해나 혐오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이 표기 기준은

1월 중 공사 음식관광 플랫폼에서 확인 가능하며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인해

갑작스레 공연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니

예매 및 방문 전 관련 기관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