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방송선곡안내

진행 : 박정경 / 연출 : 임종민
일 | 20:00 ~ 21:00

2017-04-16(일)연구의 현장입니다(출연_신태영)
  • 작성자연구현장
  • 조회수1480
  • 작성일2017.04.14

이번주 <연구의 현장>은

2016년 12월 30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학술총서 14,

'동아시아 악무문화의 교류와 수용'에서 발표된 열 네 편의 논문을 함께 합니다.

 

제 1부 동아시아 악무문화의 형성 배경
1. 문화복합체로서의 동아시아 전통 춤 연구를 위한 제언(허영일,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소장)
2. 동아시아 악무의 국가간 소통 양상(이민홍,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3. 중국 고대 악무의 기능 변화 양상(허동성,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상임연구원)
4. 일본 근세유학에서의 악무론의 수용과 전개 (남성호,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제 2부 동아시아 악무문화의 전파와 수용
5. 중국 남북조시기 외래악무의 중원 전래와 수용(남종진,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6. 수. 당 다부기의 성립 과정과 연행의 양상(허영일, 이채문, 남종진)
7. 중국 중세 ‘서역 3대무’의 중원 유입과 전개양상(이채문,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8. 발해의 대일 사신 파견과 봇카이가쿠(박태규,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상임연구원)
9. 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신태영,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10. 여, 송 악무 교류와 당악정재의 도교적 성경(신태영,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제3부 동아시아의 예악 의례와 악무의 교류
11. 일본 아악에서 ‘御遊’의 형성과 의미(박전열,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12. 조선시대 중국 사신의 춤 향유(조경아,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13. 조선시대 일본 사신의 춤 향유(조경아,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14. 조선통신사 필담창화집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악무 교류(박태규,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상임연구원)

 

 

오늘은 이 중에서 아홉 번째 순서로

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을 발표한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신태영 전임연구원을 스튜디오로 초대해 함께 얘기 나눠봅니다.

 

애청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청취 바랍니다.

 

 

▷진행: 송지원
▷출연: 신태영(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임연구원)

 

음악1. 수연장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4:09

 

음악2. 연화대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4:40

 

음악3. 포구락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3:22

 

감사합니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