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방송선곡안내

진행 : 박정경 / 연출 : 임종민
일 | 20:00 ~ 21:00

2017-04-02(일)연구의 현장입니다(출연_신경숙)
  • 작성자연구현장
  • 조회수1539
  • 작성일2017.03.31

이번주 <연구의 현장>은

2017년 2월 28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민족문화연구』 제74호에 수록된 열 편의 논문과 한 편의 해제를 함께 합니다.

 

1. 寒碧堂 郭期壽의 국문시가 향유 양상과 시가사적 의미(조지형,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적 위상(권순회,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3. 洪厓 李箕元의 自撰年譜 『洪厓自編』 연구(안득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 『삼한습유』 에 나타나는 義/烈女의 불안정성-희생양에서 윤리 주체로(이송희, 고려대학교)

5. 안확이 주도한 아악부 『가집』의 편찬 방식-이본 처리 방식을 중심으로(신경숙, 한성대학교 교수)

6. 고려후기 ‘자신을 夷로 간주하는 화이의식’의 탄생과 내향화-조선적 자기 정체성의 모태를 찾아서(최종석, 동덕여자대학교)

7. 17세기 戶曹의 布木 확보책과 ‘田稅作木’ 시행(임성수, 고려대학교)
8. 17-18세기 조선의 화폐 유통과 은(권내현, 고려대학교)
9. 『樂學軌範』 樂律論의 易學的 分析―黃鍾을 중심으로(조희영, 건양대학교)
10.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김형찬, 고려대학교)
11.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한용진, 고려대학교)

 

? 해외한국학자료 소개
『소영집성(韶英集成)』의 내용과 특징(김영운, 한양대학교)

 

오늘은 이 중에서 다섯 번째 순서로

안확이 주도한 아악부  『가집』의 편찬 방식―이본 처리 방식을 중심으로를 발표한

한성대학교 신경숙 교수를 스튜디오로 초대해 함께 얘기 나눠봅니다.

 

애청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청취 바랍니다.

 

 

▷진행: 송지원
▷출연: 신경숙(한성대 교수)

 

음악1. 평시조 '청산리~' [노래:김월하] 4:12

 

음악2. 남도민요 '농부가' [소리:성창순,전정민] 6:15

 

음악3. 중광지곡 '세령산' [연주:이왕직아악부] 2:48

 

감사합니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